새마을운동을 통해 희망을 나누는
우리들의 이야기
반세기가 훨씬 넘은 일이다. ‘1,000불 소득, 100억 불 수출’을 부르짖던 1970년대에 중학교를 다녔다.
‘근면’, ‘자조’, ‘협동’을 내걸고 ‘잘살아 보자’던 새마을운동은 학교도 예외는 아니었다.
교문에서부터 교실에 이르는 진입로를 선생님들과 함께 포장했다.
아침 일찍부터 교내는 물론 학교 앞 도로까지 드럼통을 잘라 만든 살수차로 물을 뿌리고 다녔다.
어린 나이에 어떻게 시멘트와 자갈을 비볐는지 53년 전 땀방울이 아직도 생생하다.
1980년대 경기도와 시군의 새마을과장이라는 직책은 다들 고참이어서 곧 군수나 국장으로 승진할 만큼 파워가 있었다. 1990년대 정신개혁운동으로 승화하면서 새마을과는 국민운동지원과로 이름이 바뀌기는 했지만, 그 영향력은 지속됐다.
그러나 지자체의 새마을과나 국민운동지원과는 대부분 폐지에 이르렀고, 일부 시군도 새마을과 폐지와 예산축소 등을 둘러싸고 시민단체와 갈등을 빚기도 했다. 경북 구미시의 새마을과가 겨우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전국의 다른 지자체의 경우 민간협력관련 계단위 조직에 업무분장의 하나로 남아 있을 뿐이다. 그뿐이 아니다. 최근 들어 새마을운동의 성과를 간과하고 있는 사람들도 많아졌다. 현재 회원이거나 운동가로 활동하는 이들을 제외하고는 새마을의 개념조차도 관심이 없다는 점이다. 급속한 산업화는 농촌인구를 대폭 감소시켰다. 민주화가 이뤄지면서 점차 운동의 동력을 잃어왔던 것도 사실이다. 대신 다양한 형태의 시민사회단체등 NPO(비영리민간단체)가 대폭 늘어났다. 전국적으로 무려 1만 5,000개가 넘는다.
이에 따라 이제 새마을회도 지자체 민간단체 등과의 연대와 협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제2의 부흥을 꾀하지 않으면 안 된다. 전문적이고도 세분된 다양한 시민단체와의 협치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경기 광명시가 올해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조례’를 만든 것과 수원시가 10여 년 전부터 시민들을 대상으로 이미 마을만들기 사업 등을 지원하는 시민들의 시정 참여 확대와 협치 분위기를 만든 것이 좋은 사례다.
그렇지 않아도 새마을운동중앙회나 시도새마을회는 중앙부처나 지자체, 민간단체들과의 연대 방안을 모색하고 있기는 하다. 환경공단과의 연대를 통한 각종 정화활동에는 연간 수십만 명의 회원들이 자원봉사활동을 벌였다. 경기도새마을회는 운동의 활성화를 위해 지난해부터 경기도로부터 매년 1억 2,785만 원을 지원받아 ‘참 좋은 마을공동체 만들기’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새마을이 연대와 협력을 통한 제2의 도약을 이뤄야 하는 이유 중 하나는 정부나 지자체가 최근 컨소시엄 형태의 사업비 지원이 늘어나는 추세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지자체의 시민참여예산 역시 다양한 단체와의 공동으로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 새마을로서는 기회일 수도 있다. 53년 역사를 가진 새마을 조직은 연대와 협력 만큼은 그동안의 역량과 노하우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지자체와 전문화된 시민단체들과의 다양한 사업에 참여하는 것은 새마을운동의 인식 전환과 이미지 쇄신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기에 더욱 연대하여 공동으로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중요하다.
윤석열 대통령도 지난해 10월 13일 전국새마을지도자대회에서 “지난 시절 경제위기를 극복하게 한 새마을운동이 ‘대한민국이 다시 도약하고 국민이 함께 잘사는 나라’를 만들기 위해 다시 한 번 일어나야 할 때”라고 밝혔듯이 반드시 다시 일어나야 한다.
손수레를 앞에서 끌고, 뒤에서 밀어주는 것이 연대와 협력이다.
정부와 지자체, 민간단체들 입장에서도 새마을과 손잡는 것은 해볼 만한 일이다.
공유하기
TOP